![](https://blog.kakaocdn.net/dn/qp7UA/btrnoWV9bwk/GhDAKwZqIuaclY9YyKZKt0/img.jpg)
가상화폐 채굴방법은 작업증명(POW), 지분증명(POS), 중요도 증명(POI) 으로 크게 구분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6lokL/btrnpm8c2sU/EmtoU0zk3fTPuvZJT9RC81/img.jpg)
작업증명(POW: Proof of Work)
모든 참여자가 블록을 나눠 가진 후 블록 내에 들어 있는 암호를 풀면(채굴하면) 가상자산으로 일정한 보상을 주는 방식으로, 암호를 많이 해독할수록 많은 가상자산을 얻을 수 있습니다. 즉, 이 과정은 참여자들이 블록에 담긴 암호를 해독하고 검증해 새로운 블록을 인정받게 하는 절차입니다. 암호를 너무 빨리 풀 경우 과도한 보상이 이뤄지기 때문에 참여자가 많아지면 암호의 연산 난이도가 높아집니다. 비트코인(BTC)을 비롯해 라이트코인(LTC), 이더리움(ETH) 등이 이 방식을 채택해 적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비트코인이 단순 거래가 아닌 투기의 대상으로 변질되면서 고성능의 장비를 통해 채굴하는 사례가 증가했습니다. 이로 인해 대형 채굴자들이 운영 권한을 독점할 수 있고 많은 전기가 소모된다는 비판이 나왔고, 더 안정적인 증명 방식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POS, POI 등이 등장했습니다.
지분증명(POS: Proof-of-Stake)
POS나 POI는 시중의 가상자산의 거래 빈도, 양 등을 고려해 암호를 풀지 않고 보상을 받을 수 있는 방식입니다. 먼저 POS는 보유하고 있는 가상자산 지분이 많을수록 많은 보상을 받는 방식입니다. 즉, 채굴량에 보유 지분을 곱해 가상자산을 지급받습니다. 피어코인(PeerCoin)에 처음 적용됐고 네오(NEO), 스트라티스(Stratis) 등도 이 방식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중요도 증명(POI: Proof of Importance)
POI는 가상자산 네트워크에서 활동한 기여도가 클수록 많은 보상을 받을 수 있는 방식입니다. POS처럼 지분이 높은 참여자에게 보상을 주는데, 이외에도 얼마나 많은 참여자와 거래를 했는지 등 활동량이 많을수록 큰 보상을 받게 됩니다. 이 방식은 넴(NEM) 등이 활용하고 있으며, 최초의 스마트폰 암호화폐 파이코인(Pi)과 더불어 최근 핫한 스타코인(Star)도 POI 방식을 적용하여 현재 무료채굴을 할 수 있습니다.
파이코인 - 2900만명 돌파!
11월25일 파이코인 가입자수 2,900만명 공지가 있었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지금까지의 가입자 증가 추세를 한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공지는 62일 만의 가입자 공지였고, 9월 24일 2500만명 때보
neto.tistory.com
스타네트워크 - 싱가폴 앱다운 1위!!
스타네트워크 싱가폴 앱다운 1위 달성!! 현재 가입자 110만을 돌파하였으며 이는 초기 파이코인 가입자 증가율을 능가하는 수치 입니다. 파이코인의 뒤를 이어 성공 가능성이 매우 높은 코인
neto.tistory.com
유럽 주식의 거장 - 앙드레 코스톨라니
오늘 소개해드릴 고수는 유럽 주식시장의 거장, 앙드레 코스톨라니 입니다. 코스톨라니의 투자법은 큰 틀에서 역발상 투자법과 펀더멘털 투자법이 그가 강조했던 투자법의 전부입니다. 코스톨
neto.tistory.com
한국 부자 1위 - 카카오 김범수 의장
일반인 출신 창업자가 재벌을 제쳤다. 국내 최대 부호로 꼽히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을 넘어선 것이다. 오늘의 포스팅은 김범수 카카오 의장의 이야기이다. 1. 개요 대한민국의 기업인. 카
neto.tistory.com
'재테크 > 코인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4650억원 가치 ‘비트코인’ 실수로 버린 英남성의 근황 (0) | 2021.12.14 |
---|---|
코인 - 락업 (Lockup) 이란? (ft. 락업을 하는 이유) (0) | 2021.12.11 |
코인 - 스테이킹 (Staking) 무엇인가? (0) | 2021.12.09 |
코인 - NFT 란 무엇인가? (ft. 쉽게 이해하기) (0) | 2021.11.13 |
카카오 코인 클레이튼(KLAY) 알아보기 (0) | 2021.10.21 |
댓글